Skip to content
최근:
  • 융합예술, 다시 시작하는 논의 (3)
  • Humans of K’ARTS : Dreamers
  • Humans of K’ARTS : Dreamers Phase II
  • 나를 나로 만드는 것
  • 중국의 한국 문화 가로채기 프로젝트
한국예술종합학교신문

한국예술종합학교신문

Social Icons

  • 전체기사
  • 뉴스
    • 대학
    • 사회
  • 문화
  • 기획
    • 사진
  • 인터뷰
  • 연재
  • 라이브러리
    • E-mail Newsletter
    • E-Book 보기
    • PDF 다운로드

칼럼

칼럼 

나를 나로 만드는 것

2020년 12월 12일2020년 12월 12일 . 0 댓글

ㅡ돈선필 개인전 《포트레이트 피스트(Portrait Fist)》(아트선재센터, 2020.07.23-2020.09.13) 코로나19의 여파로 많은 전시 공간이 문을 닫은 가운데, 종로구의 아트선재센터에서 재미있는 세 개의 개인전을

더 읽기
칼럼 

어둠의 영역: 눈 뜬 자는 어떻게 맹인이 되는가?

2020년 11월 18일2020년 11월 18일 . 0 댓글

지난 세기는 알튀세르주의가 영화 담론을 쥐고 흔들었던 시대였다. 까이에 뒤 시네마에 대문자 이론의 영향이 가장 짙게 드리우던 시대(붉은 표지의 까이에

더 읽기
칼럼 

소거되지 않는 것

2020년 11월 4일2020년 11월 4일 . 0 댓글

ㅡ카미유 앙로(Camille Henrot) 개인전 《토요일, 화요일(Saturday, Tuesday)》(아트선재센터, 2020.07.23-2020.09.13) 코로나19의 여파로 많은 전시 공간이 문을 닫았던 가운데, 재미있는 세 개의 개인전을

더 읽기
칼럼 

닉 랜드, 가속주의의 피카레스크 1

2020년 10월 21일2020년 10월 22일 . 0 댓글

이건 사실도, 팩션도 픽션도 아니고… 유리창으로 눈이 세차게 내리는 풍경이 보였고, 닉 랜드는 주저앉듯 휘청거렸다. 방에 있던 이들은 하나씩 자리를

더 읽기
칼럼 

방법론으로서의 불화 : 박지하, 김선익, 버드 뵈티커,

2020년 9월 22일2020년 9월 22일 . 0 댓글

혹자는 내용과 형식은 한 몸이며 분리될 수 없는 것이고, 이를 따로 보는 이들은 어리석음의 전형이라며 빈정대곤 한다. 그러나 혹자의 말마따나

더 읽기
칼럼 

마운트 이어리 시청에 관해

2020년 9월 22일2020년 9월 22일 . 0 댓글

“마운트 이어리 청취에 관해” 갈무리 엘버럼(Phil Elverum)은 40대다. 그는 ‘마운트 이어리'(Mount Eerie)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. 원래는 ‘더 마이크로폰즈'(the Microphones)라는 이름이었다.

더 읽기
칼럼 

말에 대한 믿음

2020년 9월 8일2020년 9월 8일 . 0 댓글

페터 한트케와 그의 여덟 번째 희곡 <말 타고 보덴호 건너기> 페터 한트케(Peter Handke). 우리는 이 작가에 대해 잘 모른다. 실은

더 읽기
칼럼 

짐 오루크-기능? (IV)

2020년 6월 11일2020년 6월 11일 . 0 댓글

§5 강령! ”트라우마는 몸이다.“  다니엘 바커 박사 춤을 출 때마다 고통을 느낀다. 4번 경추와 11번 경추에 어제까지 내가 꿨던 꿈이

더 읽기
칼럼 

짐 오루크-기능? (III)

2020년 5월 27일2020년 5월 27일 . 0 댓글

§3 교환과 강탈 사이에서 교환이야말로 모더니즘의 제1 규칙이다. 예컨대 서브라임 프리퀀시스(sublime frequencies)에서 유통된 태국의 대중음악은 모더니즘이 강제한 ‘작품’ 단위 안으로

더 읽기
칼럼 

NOTE/

2020년 5월 27일2020년 5월 27일 . 0 댓글

연산적 오류와 추상성 그리고 양가적 인덱스로서의 글리치 (2) 최종적으로 산출된 글리치 이미지와 그것의 추상성만을 놓고 본다면 회화나 여타의 매체에서의 실패의

더 읽기
  • ← 이전

카테고리

  • 기획
  • 뉴스
  • 대학
  • 만평
  • 문화
  • 미분류
  • 사진
  • 사회
  • 서평
  • 여러분의 목소리가 궁금해요!
  • 연재
  • 예술
  • 인터뷰
  • 칼럼
  • 학술·비평

 

한국예술종합학교신문

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 화랑로32길 146-37

한국예술종합학교 학생회관 2층 (우)0278

전화: 02-746-9482

발행인: 김봉렬│편집국장: 최현영(최미리)

이메일: newskarts@gmail.com

신문은 월 2회,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.

  • Home
  • 신문사 소개
  • 제보하기
  • 구독신청

시간 별 기사

Social Icons

Copyright © 2021 한국예술종합학교신문. All rights reserved.
테마: ColorMag(ThemeGrill 제작). Powered by 워드프레스.